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O(log n)
- N:N
- 탐욕 알고리즘
- 자료구조
- ubuntu 패스워드
- mapstruct
- git 설정
- ubuntu passwd
- 스키마 설계
- file i/o
- AOP
- set-version
- 스키마 디자인
- Java
- Spring 예외처리
- ubuntu
- 배열 탐색
- root passwd
- 함수형 인터페이스
- char to int
- RestControllerAdvice
- JAVA 재귀함수
- custom exception
- git workflow
- 코드스테이츠
- REST HTTP API
- Spring
- 리눅스 사용권한
- Spring MVC
- http 응답코드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스키마 설계 (1)
개발소설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구조, 자료의 표현 방법, 자료 간의 관계를 형식 언어로 정의한 구조이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계할때 스키마 디자인 한다고 표현 하기도 한다. https://dbdiagram.io - 스키마 다이어그램 그리기 좋은 사이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화된 데이터는 하나의 테이블로 표현, 이것을 Relational(관계가 있는) 테이블로도 부르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관계가 있는 테이블들의 집합이다. 용어정리 테이블(table) 구조화된 데이터로 행과 열을 가진다. 행(row)=튜플=레코드 데이터 열(coulmn)=필드=속성 데이터의 속성 key (식별자 - Identifier) 테이블내 레코드를 구분하거나 찾기 위한 수단 key를통해 데이터를 식별 할 수 있다. ..
CS/DataBase
2023. 3. 29. 2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