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HTTP
HTTP 상태코드 (status code)
ChaeHing
2023. 3. 28. 00:17
- HTTP 요청시 발생하는 상태코드 정리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 에 자세히 있다.
- 전부다 외우기 보다는 주요한것만 알아둔뒤 오류 발생시 문서를 찾아 보자
대역별 응답코드
- 1xx(정보) :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
- 2xx(성공)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
- 3xx(리다이렉션) :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
- 4xx(클라이언트 오류) :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 5xx(서버 오류) :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한 충족을 실패
주요 응답코드
- 200 OK : 요청이 성공적으로 되었다
- 201 Created :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 되었다.
- 204 No Content : 요청에 대하여 보내줄 수 있는 콘텐츠가 없지만, 헤더는 의미 있을 수 있다.
- 302 Found :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일시적으로 변경되었음
- 304 Not Modified :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이 수정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 캐시를 목적으로 사용
- 400 Bad Request : 잘못된 문법으로 인하여 서버가 요청을 이해 할 수 없음
- 401 Unauthorized : 비인증, 인증되지 않은 요청, 클라이언트가 누군지 모른다.
- 403 Forbidden : 클라이언트가 콘텐츠에 접근할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음, 미승인된 요청, 클라이언트가 누군지 알고 있다. -> API 호출시 API key가 잘못되었거나 없을때 주로 발생
- 404 Not Found : 서버는 요청 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 -> 주로 url-path를 잘못 입력했을때 발생
- 502 Bad Gateway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응답을 얻기 위해 게이트웨이로 작업하는 동안 잘못된 응답을 수신했음을 의미
- 503 Service Unavailable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준비가 되지 않았습니다. -> 서버의 유지보수(점검등)을 위해 잠시 중단되거나 과부하(서버부하)가 발생 했을때 주로 발생
- 504 GateWay : 서버가 게이트 웨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적시에 응답을 받을 수 없을때 주어 진다.